본문 바로가기

정보보안

(17)
워크넷 개인정보 유출(의심) 문자, 피싱일까? 해킹일까? 최근 많은 업체나 공공기관등에서 개인정보 유출이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특히나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던 워크넷(한국고용정보원)에서 온 안내 문자를 보고 놀라신분들이 많이 계실 것 같습니다. 갑자기 이런 문자를 받다니 또 피싱인가 싶기도 하시겠지만 홈페이지에가면 아래와 같은 팝업창이 떠있고 기사도 난것을 보면 피싱은 아닙니다. 사실 이런 경우는 너무나도 흔합니다. 여러분이 자주 사용하고 계시는 ID/PW조합 있으실 겁니다. 그중 취약한 사이트에서 ID/PW가 유출되거나, 키로거 프로그램으로 해킹당하거나 여러가지 상황에서 ID/PW가 유출되면 해커들은 해당 ID/PW를 가지고 할 수 있는 모든 사이트에 해당 조합을 시도합니다. 그래서 로그인이 된다면 개인정보를 추가로 획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
바이낸스 스미싱(스테이션 동기화, 계정 동결) 새해가 되자마자 스미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요즘 아래와 같은 문자를 받고 계신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문자는 피싱입니다. 주소를 보면 binaceo.com인데 원래 바이낸스 주소와 다릅니다. 또한 링크를 클릭하면 바이낸스와 똑같은 홈페이지로 연결되는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탈취하려는 목적인 것 같습니다. 홈페이지를 똑같이 만드는 일은 어려운 일이 아니니 속으시면 안되겠습니다. 그리고 저는 바이낸스를 안 써봐서 모르지만 한글로 된 문자는 안 온다고 하니 그것도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부지원 재난극복 긴급지원금, 손실보상금, 스미싱(피싱) 구분 방법 정보보안 이슈가 발생할때 쉽게 설명하는 글을 포스팅하려고 하는데 최근에는 스미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 또 다시 스미싱으로 찾아왔습니다. 이번 문자는 아마 국내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여 이전 코레일 스미싱(블로그 관련링크)에 비해 어색한 점을 찾기 힘듭니다. 이와 같은 문자를 받았을 때는 문자에서 링크를 클릭하지 않고 해당 기관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 입니다. 손실보상금은 현재 자영업자 등 대상자들에게는 큰 관심사고 해커들은 그런 관심을 파고들어 방심하고 클릭하도록 유도하니 혹하는 내용일수록 주의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1. 수상한(?) 전화번호 소상송인 손실보상사이트(클릭시 새창열기)에서 확인해보니 손실보상금 콜센터는 1533-3300이였습니다. 문자에 나와있는 번호와는 다른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철도공사(레츠 코레일) 스미싱 관련 주의, 스미싱 구분법, 피싱 피하는 법 현재 한국철도공사를 사칭한 스미싱이 유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코레일 홈페이지와 코레일 톡에도 주의 안내가 나오고 있습니다. 스미싱은 전에 카카오톡 사태에서도 말씀드린적이 있는데 간단히 말하자면 문자를 이용한 사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특정 링크를 클릭하도록 유도하여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악성코드를 심는 것이 목적입니다. 스미싱 클릭 후 화면(예시) 해당 링크로 들어가면 간단한 질문에 답하면 교통비를 준다고 나옵니다. 그리고 해당링크를 다시 친구에게 공유하라고 나옵니다. 언듯보면 그럴듯 해 보일 수도 있지만 자세히 보면 엉성한 부분이 한두군데가 아닌데요. 같이 몇가지 살펴보면 피싱을 구분하실 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여차하면 당할 수 있고 진짜와 똑같은 피싱도 있으니 방심은 금물입니다. 실제 최근 보안 트렌드..
카카오톡 장애를 이용한 스미싱/피싱 공격 카카오톡이 최근 데이터 센터 화재로 장애가 발생하여 많은 사람들이 불편을 겪었습니다. 항상 이런 큰 이슈가 발생하면 해커들이 틈을 파고들어 우리의 개인정보 및 재산을 노립니다. 월드컵, 코로나, 러시아 전쟁 등과 같은 일이 있을때면 항상 이슈를 이용한 이메일 피싱이나 스미싱등이 활개를 칩니다. 스미싱: 해커들은 항상 다수의 핸드폰에 악성코드를 설치하고 싶어합니다. 이를 쉽게 하기 위해 문자를 이용하여 악성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수법으로 문자메세지(sms)와 낚시를 뜻하는 피싱(phising)의 합성어 입니다. 사용자는 악의적인 문자인줄 모르고 클릭하게되고 이로 인해 악성앱이 설치되어 개인정보 유출이 될 수 있고 최근에는 가상화폐를 채굴하는 것에 사용됩니다. 메일도 마찬가지로 유도합니다. 이런 핫한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