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 프로그램

(203)
한글 수정한 내용 표시하기(ft. 변경 내용 추적) 한글에서 원본 파일을 수정할 때 바로 수정하는 것보다 수정한 내용을 표시하면 수정한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도 있고 되돌리기도 쉽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변경 내용 추적이라고 하는데 원본, 수정내역, 최종 완성본을 번갈아 가며 볼 수 있어서 전체 적인 변경사항을 파악하기 좋습니다. 한 가지 주의점은 변경내용 추적을 미리 활성화한 상태에서 수정한 내역만 축척이 가능하다는 점 명심하셔야겠습니다. 1. 한글 변경 내용 기록하기 1. [검토] 탭을 클릭합니다. 2. [변경 내용 추적]의 펼침 단추를 클릭합니다. 3. [변경 내용 추적]을 클릭합니다. 변경 내용 추적이 활성화가 되면 아이콘이 바뀝니다. 또한 하단에도 "변경 내용[기록 중]"이라고 표시가 되어 변경 내용이 기록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
한글에서 한글과 영어(외국어) 폰트 다르게 하기 한글에서는 한글 폰트(글꼴)와 영어를 포함한 언어별 폰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단축키 Alt + L) 뿐만 아니라 상대크기, 장평, 글자 위치, 자간을 언어별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언어별이라는 것은 한글, 영문, 한자, 일어, 외국어, 기호 등으로 구분됩니다. 이제 더 이상 한글이 이쁜 폰트와 영어가 이쁜 폰트에서 고민할 것 없이 둘 다 사용하면 됩니다. 1. 언어별 폰트 변경하기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한글은 이사만루체, 영문은 펜흘림으로 폰트를 변경해 보겠습니다. 1. 폰트를 다르게 설정하고자 하는 범위를 드래그 하여 선택합니다. 2. 우클릭합니다. 3. [글자 모양]을 클릭합니다.(Alt + L) 4. [기본] 탭을 클릭합니다. 5. [언어]에서 [한글]을 선택합니다. 7. [언어]..
한글 글자 바꾸기(한글을 한자로, 한자를 한글로)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서를 보는데 한자가 있다면 [한글로 바꾸기] 기능을 이용하여 한자를 한글로 바꿀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한자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 만큼 한자가 나온다면 많이 당황하실 수 있지만 한자를 한글로 바꾸는 방법은 어렵지 않으니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물론 하나씩 한자를 찾아볼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면 효율도 떨어지고 칼퇴에 위협이 되니 간단한 기능 하나 알아두시면 두고두고 사용하시게 될 것 같습니다. 1. 영역을 설정하여 바꾸기 1. 한자를 한글로 바꾸고 싶은 부분을 드래그하여 선택합니다. 2. [편집] 탭을 클릭합니다. 3. [글자 바꾸기]를 클릭합니다. 4. [한글로 바꾸기]를 클릭합니다.(Alt + F9) 5. [한자를 한글로]에 체크하고 표시방식을 선택합니다. 6. ..
한글 도형 안에 글자 넣기, 한글에 도형 그리기(넣기) 한글을 사용하면서 도형 안에 글자를 넣어 문서를 꾸미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한글에서 도형 안에 글자를 넣는 이유는 특정 부분을 강조하여 집중을 유도하거나 다른 내용과 구분 짓기 위해서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네모난 도형 안에 글자를 넣는 것은 1x1표를 그리고 안에 글을 넣는 것과 비슷하지만 원이나, 타원, 사각형이 아닌 다각형은 도형 안에 글을 넣어야 합니다. 1. 한글에서 도형 그리기 1. [입력] 탭을 클릭합니다. 2. 원하는 도형을 클릭합니다. 3. 드래그하여 도형을 입력합니다. 2. 한글에서 도형 편집하기 1. 편집하고자 하는 도형을 클릭합니다. 2. [도형 채우기]의 펼침 단추를 클릭합니다. 3. 도형 안에 칠하기 원하는 색을 선택합니다. 4. [도형 윤곽선]의 펼침 단추를 클릭합니다. 5...
한글 표 단축키와 여러 셀 선택하기 한글을 사용하며 단축키를 익히기 귀찮은 분들도 한글에서 제공하는 매크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단축키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우스가 매크로에 들어가면 정확도가 떨어지기에 키보드로만 입력을 하는 것이 좋은데 그러기 위해서는 단축키의 활용이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매크로 작성에 도움이 될만한 한글 표 단축키와 셀을 선택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글에서 매크로를 작성하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한글 매크로를 이용한 반복작업 1초만에 끝내기(매크로 단축키) 한글에서 문서를 만들다 보면 반복해야 하는 작업이 있습니다. 삽입한 그림의 사이즈를 똑같이 맞춰야 한다던지 표의 모양을 똑같이 맞춰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표의 모양이 같다면 복사하 dolpali.tistor..
이미지 배경 투명하게 하기(ft. 한글) 이미지 배경을 투명하게 하는 툴은 포토샵이나 그림판 3D, 전문 사이트 등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한글 프로그램에서도 이미지의 배경을 투명하게 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기도 어렵지 않고 한글 문서 편집중에도 다른 프로그램을 왔다갔다 할 필요가 없어 알아두면 요긴한 기능입니다. 1. 한글에서 배경 투명하게 하기 도장이나 서명을 한글파일에 넣기 위해서는 배경이 투명한 도장, 서명의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만약 없는 경우 무료로 만들어 주는 사이트를 이용해도 되지만 이미지는 있는데 배경만 투명하게 만들어야 하는 경우는 한글에서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다른 글자나 표 위에 겹쳐서 표시하기 위해서는 본문과의 배치를 [글 앞으로]로 설정해두셔야 합니다. [글 앞으로]로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파워포인트(PPT)에서 다른 문서 연결(첨부)하기(엑셀, 워드, PDF, hwp) 파워포인트(PPT)에서 엑셀, 워드, PDF, 한글파일(hwp)등의 파일을 연결(첨부)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클릭하면 열리도록 링크를 연결가능하고 엑셀, 워드, 한글파일(hwp)의 경우에는 바로 내용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높이고, 보다 전문적인 발표 자료를 만들 수 있습니다. 파일을 파워포인트(PPT)와 연결해 두면 프레젠테이션 도중에 관련 파일을 찾고 열기 위해 흐름이 끊길 일 또한 없어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워포인트에 엑셀, 워드, PDF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보고서, 발표 자료 등을 준비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파일 삽입에 문제가 있는 경우 "서버 응용프로그램, 원본 파일, 항목을 찾을 수 없거나 알 수 없..
파워포인트(PPT)에서 폰트 포함하여 저장하기(다른 컴퓨터에서 저장한 대로 안보이는 경우) 파워포인트(PPT) 뿐만아니라 폰트(글꼴)를 사용하는 많은 프로그램은 내가 보는대로 다른 사람은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문서를 작성할 때 사용한 폰트가 읽는 사람에게 없다면 글자가 시스템 기본 폰트로 대체되어 나오게 됩니다. 폰트가 바뀌게 되면 화면 구성이 원치 않은대로 보여지게 되어 의도와 다르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 이정도면 다행이지만 심한경우 글자가 깨져서 아예 내용 전달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프로그램에서 지원한다면 폰트를 포함하여 다른사람에게 전달하는 것이 의도대로 전달이 될 것입니다. 새로운 폰트를 다운받아 설치하는 방법을 모르신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3.09.13 - [윈도우(Windows) 팁] - 다운받은 무료 폰트 설치(추가)하기 1. 파워포인트에..
엑셀 그래프 보조축 추가하기(총 합 표시하기) 엑셀뿐만 아니라 보고서 등에서 쉽게 데이터를 보여주기 위해서 그래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의 범위가 너무 넓은 경우에는 일부 데이터의 변화가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이 문제입니다. 위 그래프를 보시면 총매출의 데이터 범위가 높아서 제품 1,2,3의 변화가 잘 보이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에 보조축을 사용하면 좀 더 변화량이 잘 보이도록 할 수 있습니다. 왼쪽에 있는 그래프틑 축이 1개인 그래프입니다. 제품 1~3과 합계가 같이 있어서 데이터 범위는 0~$100,000까지입니다. 당연히 합계가 제품 1~3의 개별적인 데이터보다 항상 크기 때문에 그래프의 반 이상은 총매출(노란색 선)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1~3의 변화량이 잘 안 보입니다. 이런 경우 보조축을 사용하여 합계를..
파워포인트(PPT) 서로 다른 파일에 있는 내용 합치기 파워포인트뿐만 아니라 일을 하다 보면 서로 다른 파일에 있는 내용을 합쳐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월말 결산은 주간 회의 내용을 합치고 분기는 월을 합치고 그런 식으로 자료가 작성이 됩니다. 완전 처음부터 새로 쓰기에는 시간도 없고 내용도 중복되기 때문에 기존에 작성된 파일에서 필요한 내용만 발췌하여 합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서식이 다르더라도 파워포인트에서는 서식을 맞춰주기 때문에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기존 서식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설명에서는 파란 배경의 기존 파일(A)에서 빨간 테마의 작성 중인 파일(B)로 옮기는 경우를 설명하겠습니다. 1. 서로 다른 파일 내용 합치기 1. 복사하고 싶은 슬라이더를 선택하기 위해 Ctrl을 누른 상태에서 1번 슬라이드와 2번 슬라이드를..
파워포인트(PPT) 페이지 자동 넘김, 넘기지 않기 파워포인트(PPT)는 한글이나 엑셀과는 다르게 다른사람 앞에서 발표 할 때 사용합니다. 그래서 발표자는 발표할 때 슬라이드는 자동으로 넘어가게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발표자는 클릭을 하여 슬라이드를 넘겨도 되지 않으므로 발표에 집중할 수 있게 되며 듣는 사람도 슬라이드를 넘기는 행동에 집중력을 빼앗기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발표 중에 있는 질문이나 다른 돌발상황에 대처하기 힘들 수 있으며 자동으로 넘어가는 타이밍을 정확히 알아야 하므로 내용을 완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하겠습니다. 1. 파워포인트(PPT)에서 슬라이드 페이지 자동 넘김 슬라이드 자동넘김은 페이지마다 설정할 수 있으며 시간도 서로 다르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자동넘김을 하고싶은 슬라이드로 이동한 다음 진행해주시기 바랍니다. 1. [전..
PDF의 표를 엑셀에 복사하기(ft. GPT, Bard) PDF 파일에 있는 표를 엑셀로 복사하는 방법은 Acrobat Pro가 있다면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그렇지 않다면 PDF의 표를 엑셀로 붙여넣기는 일반적으로 쉽지 않습니다. 한글의 표를 엑셀이나 워드에 붙여 넣으면 정확히 맞지는 않아도 어느 정도 표의 형식을 갖추고 복사가 됩니다. 하지만 PDF는 엑셀이나 한글과 다른 형식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PDF에 있는 표를 복사에서 엑셀이나 한글에 붙여 넣으면 표의 형태로 나오지 않습니다. 간단한 표 형식이면 그냥 만들겠지만 바쁜데 표까지 복잡하고 크다면 참 귀찮은 일이 아닐수 없습니다. 저 숫자들을 일일이 수기로 입력하다가 잘못 될 수도 있습니다. 예전에는 엑셀에서 PDF의 표 데이터를 가져오는 기능이 있다고 하는 사이트도 있는데 저의 경우 2019 버전임에도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