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68)
스프레드 시트 웹 크롤링의 핵심, XPath 찾기 지난 포스팅에서는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하여 크롤링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크롤링을 처음 하시는 분들은 XPath가 가장 어려운 부분이라고 생각되어 XPath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려 합니다. 지난 시간에 알아봤던 전체 XPath경로를 복사하는 방법도 있지만 동적으로 내용이 변한다던가 하는 경우네는 이렇게 해서 값을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가져온 문자열을 잘라서 보여주고 싶은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IMPORTXML 사용법에 대한 응용을 살짝 맛보겠습니다.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한 기본적인 크롤링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포스팅에서 네이버 주식에서 현재가를 가져오는 방법을 설명한 포스팅이 있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프로그램 한 줄 없이 크롤링 하는 방법(ft. 구글..
프로그램 한 줄 없이 크롤링 하는 방법(ft. 구글 스프레드시트) 구글의 엑셀, 스프레드시트에서 크롤링이 가능하고 IMPORTXML함수를 사용하여 크롤링을 합니다. 크롤링을 하려면 파이썬이니 뭐니 배워서 하는 게 아닌 엑셀의 함수 하나만 가지고도 가능한 것입니다. 기존에 엑셀에도 크롤링하는 기능이 있지만 IE기반이어서 IE를 지원하지 않는 사이트에서는 크롤링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2019 기준) 대부분의 기능은 MS 엑셀이 스프레드시트보다 낫다고 생각하지만 크롤링만큼은 현 시전에 구글의 스프레드시트가 조금 더 낫지 않나 싶습니다. 네이버 주식에서 주식정보를 가져오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글을 쓰려고 찾다보니 주식을 하시는 분들이 크롤링을 많이 이용하시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조금만 응용하시면 코인에서도 사용가능할 것 같습니다. 물론 프로그램을 할 줄 아신다면 ..
파워포인트(PPT) 효과음 넣기 파워포인트에서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통해 효과음을 넣을 수 있습니다. 파워포인트의 효과음은 내장되어 있는 소리도 있지만 별도로 원하는 소리를 넣으려면 wav형식의 파일이어야 합니다. 그래서 소리 파일이 MP3, AAC, FLAC 등의 확장자로 되어 있다면 wav로 변경해야 합니다. 효과음을 넣게 되면 사람들의 주의를 끌 수 있고 해당 슬라이드나 문구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다른 예로는 예전에 시각장애인이 하는 장애인식개선 강의를 들을 일이 있었습니다. 해당 강사분은 슬라이드를 볼 수 없으니 효과음으로 현재 PPT가 어디까지 진행됐는지 파악하셨던 것을 보고 효과음 기능을 적절히 잘 사용하고 있는 예라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다. 1. 파워포인트 내장 효과음 넣기 1. 애니메이션 효과를 넣을 오브젝트를 선택합니다..
엑셀에서 중복된 값 제거하고 고유값만 가져오기(ft. UNIQUE) 엑셀에서 중복된 값을 제거한다는 말은 고유한 값만 남긴다는 뜻 일 수도 있지만 중복되는 값 중 하나는 남긴다는 뜻 일 수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둘 다 할 수 있는 UNIQUE 함수에 대해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위 그림은 어떤 회사의 출입시간을 가지고 오늘 출근한 사람, 퇴근하지 않은 사람을 UNIQUE 함수로 골라낸 것입니다. 하루에 출입은 출근과 퇴근만 있다고 단순히 가정을 하고 진행하겠습니다. 이름이 한 번이라도 있는 경우 출근만 하고 퇴근은 하지 않은 경우, 즉 중복되는 결과값은 하나만 남겨놓는 경우입니다. 이름이 두 번 있는 경우는 출근하고 퇴근도 한 사람이며, 이름이 한 번만 있는 경우는 출근하고 아직 퇴근하지 못한 경우입니다. 그리고 UNIQUE 함수는 FILTER를 조합하면 더 다양..
한글에서 복사되지 않는 표 복사하기 한글에서 여러 개의 표를 선택하는 기능은 없으며 여러 개의 표를 복사하기 위해서는 표를 포함하여 드래그하여 선택하고 복사하면 됩니다. 만약 그렇게 안 되는 경우에는 조판부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조판부호를 사용하면 복사가 잘 안 되던 개체도 복사할 수 있습니다. 위 예시와 같이 드래그하여 복사해도 복사가 안되는 표는 조판부호를 이용해야 합니다. 표가 아닌 개체의 경우 다중선택과 붙여넣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아래 포스팅에서 사용 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글 이미지(개체) 크기(모양) 똑같이 맞추기 한글에서는 다음 그림과 같은 사각형의 모양을 복사해서 오른쪽과 같은 아무것도 없는 원에 붙여 넣으면 사각형과 스타일의 원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는 이전에 살펴봤던 서식 복사를 개 dolpali.tis..
파워포인트(PPT)의 기본 텍스트 편집 기능(글머리 기호, 들여쓰기, 간격 조절) 파워포인트(PPT)에서는 효과적인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며 그중에 글머리 기호 추가, 들여 쓰기 조정, 텍스트의 간격을 조정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글머리 기호를 넣고 적절하게 들여쓰거나 간격을 조절하면 발표를 듣는 청중이 내용을 이해하기가 훨씬 쉽습니다. 양식을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전문성도 높아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파워포인트에서는 슬라이드에 있는 텍스트 박스에서 기본적으로 글머리가 적용되어 있지만 원하는 양식과 안 맞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들여쓰기와 간격을 조절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글머리 기호 추가하기 1. 글머리 기호를 적용하고 싶은 단락을 드래그하여 선택합니다. 2. [홈] 탭을 클릭합니다. 3. 단락에 있는 [글머리 기호] 나 [번호 매기기]를 선택합니다..
한글 문자열(텍스트)로 표로 만들기 한글에서 문자열(텍스트)을 표로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바로 [문자열을 표로]라는 기능인데, 엑셀에서 [텍스트 나누기]와 유사합니다. [문자열을 표로]라는 기능은 표가 아닌 문자열(텍스트)로 되어 있는 문자열을 한 번에 표로 만들어 주는 기능으로 텍스트가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분리할 수 있다면 가능합니다. 반대로 표를 문자열로 바꾸는 것 역시 한 번에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탭, 쉼표, 3칸이상의 빈칸 등 문자열 안에 있는 데이터를 구분 지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가능하며 이는 엑셀과도 같습니다. 엑셀에서 문자열을 나누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엑셀 문자열 데이터 구분 기호로 나누기 엑셀에서 하나의 셀에 너비가 일정하게 또는 구분 기호(탭, 세미콜론, 쉼표, 공백 등)로 구분이..
한글에서 칼퇴를 도와주는 문단 설정 모음 한글에서 다른 페이지로 한 줄만 넘어가는 경우(외톨이줄)의 경우 보기 안 좋아서 편집할 때 한 페이지가 되도록 조정을 하던가 문단을 다음 페이지로 넘깁니다. 하지만 문단 보호나 외톨이줄 보호 등의 기능을 쓰면 이러한 문제가 자동으로 해결됩니다. 최종본이면 한 번만 조정을 하면 되겠지만 문서가 계속 변경되는 경우, 수많은 페이지의 줄이 넘어갔는지 일일이 확인하며 편집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첫 페이지에서 한 두줄 추가한 것이 100, 200페이지에서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눈으로 확인해야 하며 조정을 해야 합니다. 페이지가 넘어가는 경우 문단을 어떻게 처리할 미리 지정해 놓으면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없어집니다. 또한 전체 문서가 아닌 문단별, 페이지 별로 드래그하여 문단 모양에 대한 설정을 다..
한글에서 줄이 안맞을 때(ft. 반 칸 띄우기) 한글에서 줄이 안 맞을 때에는 반 칸 띄우기를 통해 줄을 쉽게 맞출 수 있습니다. 반 칸 띄우기는 한글의 '고정폭 반 칸'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또는 자간을 이용하여 맞출 수도 있습니다. 위 움짤과 같이 줄이 안 맞는 경우에는 분노가 치밀어 오르지만 앞서 말씀드린 두 가지 방법, 반 칸 띄우기와 자간을 조정하여 맞출 수 있습니다. 사진만 봐도 벌써 편안해집니다. 어렵지 않으니 바로 설명 들어갑니다. 1. 자간 조정하기 1-1. 글자모양에서 자간 설정하기 1. 자간을 조정할 부분을 드래그 하여 선택합니다. 2. 우클릭합니다. 3. [글자 모양]을 클릭합니다.(Alt + L) 4. [기본] 탭을 클릭합니다. 5. [자간]에 9를 입력합니다. 6. [설정]을 클릭합니다. 자간에 입력하는 숫자는 문서에 ..
한글 수정한 내용 표시하기(ft. 변경 내용 추적) 한글에서 원본 파일을 수정할 때 바로 수정하는 것보다 수정한 내용을 표시하면 수정한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도 있고 되돌리기도 쉽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변경 내용 추적이라고 하는데 원본, 수정내역, 최종 완성본을 번갈아 가며 볼 수 있어서 전체 적인 변경사항을 파악하기 좋습니다. 한 가지 주의점은 변경내용 추적을 미리 활성화한 상태에서 수정한 내역만 축척이 가능하다는 점 명심하셔야겠습니다. 1. 한글 변경 내용 기록하기 1. [검토] 탭을 클릭합니다. 2. [변경 내용 추적]의 펼침 단추를 클릭합니다. 3. [변경 내용 추적]을 클릭합니다. 변경 내용 추적이 활성화가 되면 아이콘이 바뀝니다. 또한 하단에도 "변경 내용[기록 중]"이라고 표시가 되어 변경 내용이 기록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
한글에서 한글과 영어(외국어) 폰트 다르게 하기 한글에서는 한글 폰트(글꼴)와 영어를 포함한 언어별 폰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단축키 Alt + L) 뿐만 아니라 상대크기, 장평, 글자 위치, 자간을 언어별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언어별이라는 것은 한글, 영문, 한자, 일어, 외국어, 기호 등으로 구분됩니다. 이제 더 이상 한글이 이쁜 폰트와 영어가 이쁜 폰트에서 고민할 것 없이 둘 다 사용하면 됩니다. 1. 언어별 폰트 변경하기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한글은 이사만루체, 영문은 펜흘림으로 폰트를 변경해 보겠습니다. 1. 폰트를 다르게 설정하고자 하는 범위를 드래그 하여 선택합니다. 2. 우클릭합니다. 3. [글자 모양]을 클릭합니다.(Alt + L) 4. [기본] 탭을 클릭합니다. 5. [언어]에서 [한글]을 선택합니다. 7. [언어]..
한글 글자 바꾸기(한글을 한자로, 한자를 한글로)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서를 보는데 한자가 있다면 [한글로 바꾸기] 기능을 이용하여 한자를 한글로 바꿀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한자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 만큼 한자가 나온다면 많이 당황하실 수 있지만 한자를 한글로 바꾸는 방법은 어렵지 않으니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물론 하나씩 한자를 찾아볼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면 효율도 떨어지고 칼퇴에 위협이 되니 간단한 기능 하나 알아두시면 두고두고 사용하시게 될 것 같습니다. 1. 영역을 설정하여 바꾸기 1. 한자를 한글로 바꾸고 싶은 부분을 드래그하여 선택합니다. 2. [편집] 탭을 클릭합니다. 3. [글자 바꾸기]를 클릭합니다. 4. [한글로 바꾸기]를 클릭합니다.(Alt + F9) 5. [한자를 한글로]에 체크하고 표시방식을 선택합니다. 6. ..